Zod.kr
컴퓨터 하드웨어 및 모바일 매니아, 전문가, 게이머를 위한 커뮤니티 그리고 기술 분석 전문 웹진.
대한민국의 IT 커뮤니티. 유튜버 뻘짓연구소가 운영진으로 참여했다.
zod.kr 개발 4개월, 오픈 2개월 후기 - 서버 및 서비스편
국내 커뮤니티 사이트(zod.kr)를 개발하며 선택한 기술 스택과 개발 과정에 대한 글입니다.
경쟁 사이트의 큰 실책으로 예상의 10배의 트래픽이 들어오는 상황에서, 서버를 터트리고 다시 복구. 트래픽 비용 최적화를 위한 리소스 다이어트.
INFORMATION |
이하 Grok 3로 요약한 결과입니다. |
IT 커뮤니티 zod.kr을 1인 개발한 경험을 공유. 서버비 절감을 위한 최적화 과정 포함.
- 개발 배경: 3년 만에 웹개발, 7년 만에 PHP 개발 복귀. 풀스택 개발자로 전환.
- 서비스 스택: Rhymix(CMS), 오라클 클라우드 프리티어(초기), Cloudflare(보안), Bunny.net(CDN), 네이버 클라우드(이메일).
- 초기 서버: 오라클 프리티어(24GB RAM, 4코어 ARM, 150GB 스토리지). 트래픽 4TB 무료로 선택했으나, 오픈 후 예상치 못한 10배 트래픽으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끊김 및 서버 붕괴.
- 서버 이전: Vultr로 긴급 이전. 30시간 무수면 작업으로 임시 오픈.
- 트래픽 문제:
- Cloudflare Argo(GB당 $0.1)로 하루 $20 지출, 월 100만원 예상.
- Bunny.net으로 전환해 비용 15~20% 수준으로 절감.
- 일 방문자 2.7~3만, 트래픽 최적화 필요성 절감.
- 아이콘(Iconoir) 및 웹폰트(Pretendard) 용량 축소.
- 인라인 스크립트/스타일 최소화, HTML 주석 제거.
- Lazyload 적용으로 Bunny.net 트래픽 감소(6888GB → 4446GB).
- 봇 차단 및 API 화이트리스트 도입으로 3~4GB 절약.
- Cloudflare 피크 트래픽 211GB → 12GB, 총 트래픽 57% 감소.
- 비용 70~80% 절감(일 $26 → $3.48).
See also
- IT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