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Fi
와이파이(Wi-Fi, WiFi)는 전자기기들이 무선랜(WLAN)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기술로서, 주로 2.4 기가헤르츠 (12센티미터) UHF 및 5 기가헤르츠 (6센티미터) SHF ISM 무선 대역을 사용한다. 무선랜은 일반적으로 암호로 보호되어 있지만, 대역 내에 위치한 어느 장치라도 무선랜 네트워크의 자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개방도 가능하다.
와이파이 얼라이언스는 와이파이를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EEE) 802.11 표준에 기반한 모든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제품으로 정의하고 있다. 와이파이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의 상표의 하나이다. Wi-Fi Certified 상표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 상호운용 인증 테스트에 완전히 합격한 와이파이 제품에만 사용할 수 있다.
와이파이 기술을 사용하는 장치에는 개인용 컴퓨터, 비디오 게임 콘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태블릿 컴퓨터,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현대의 프린터가 포함된다. 와이파이 호환 장치들은 WLAN 네트워크와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핫스팟)는 실내에서는 약 20 미터(66 피트)의 대역을, 실외에서는 이보다 더 큰 대역을 가진다. 핫스팟 지원 범위는 무선파를 차단하는 벽이 있는 작은 방으로까지만 지원될 수 있고, 여러 액세스 포인트를 겹쳐 사용함으로써 수 제곱 킬로미터로까지 확대할 수 있다.
와이파이는 이더넷과 같은 유선 연결 보다 덜 안전한 편인데, 이는 칩입자가 물리적인 연결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TLS를 사용하는 웹 페이지들은 안전하지만 암호화되지 않은 인터넷 접속은 침입자들에 의해 쉽게 발견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와이파이는 다양한 암호화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초기 암호화 WEP은 쉽게 뚫릴 수 있었다. 더 높은 품질의 프로토콜(WPA, WPA2)들이 나중에 추가되었다. 2007년에 추가된 선택적인 기능인 와이파이 보호 설정(WPS)은 공격자가 라우터의 암호를 알아낼 수 있게 하는 심각한 결함이 존재하였다. 그 뒤로 와이파이 얼라이언스는 테스트 계획 및 인증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여 새롭게 인증된 장치들이 공격에 저항할 수 있도록 보증하고 있다.
장치 정보 확인 방법
nmcli를 사용하여 목록으로 출력 가능.
iw 명령으로 Wi-Fi 표준(802.11a/b/g/n/ac/ax 등)을 확인하려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명령어는 무선 인터페이스의 상세 정보를 출력합니다. 출력 결과에서 "Supported interface modes"나 "Supported bands" 섹션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지원되는 주파수 대역(2.4GHz 또는 5GHz) 및 최대 속도와 채널 대역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HE (High Efficiency)와 같은 항목이 표시되면 Wi-Fi 6(Wi-Fi 802.11ax) 지원을 의미합니다.
iwconfig 명령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무선 설정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상세한 정보는 제공되지 않으므로, 주로 무선 인터페이스의 기본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때 유용합니다.
lshw 명령어는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정보를 보여줍니다. 무선 장치의 모델명과 제조사 정보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스펙을 인터넷에서 검색해 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최고 무선 속도
최고 무선 속도는 2.4GHZ와 5GHz, 6GHz 주파수에서 지원하는 속도의 합이 아닌 단일 주파수에서 지원하는 가장 빠른 무선 주파수의 속도를 말합니다.
각 무선 규격에 해당하는 최고무선속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무선 규격 | 단일 최고 속도 |
| 11520Mbps |
| 4804Mbps |
| 2402Mbps |
| 2167Mbps |
| 1733Mbps |
| 1625Mbps |
| 1300Mbps |
| 1201Mbps |
| 867Mbps |
| 450Mbps |
| 433Mbps |
| 300Mbps |
| 150Mbps |
무선 최대 지원 속도
무선 기기가 지원하는 최대속도를 표기한 것으로, 802.11n 규격과 802.11ac 규격 속도의 합으로 표기됩니다.
최대 지원 속도는 모든 지원규격 속도의 합이므로 단일기기의 속도는 최대 지원속도보다 낮을 수 있습니다.
- #Wi-Fi 7
- 접두사로 "BE"가 붙는다.
- BE33000, BE30000, BE25000, BE19000, BE11000, BE9700, BE9300, BE7200, BE6800, BE6500, BE5000, BE3600
- #Wi-Fi 6E
- 접두사로 "AXE"가 붙는다.
- AXE16000, AXE11000, AXE7800, AXE6600, AXE5400, AX7800
- #Wi-Fi 6
- 접두사로 "AX"가 붙는다.
- AX11000, AX9000, AX6600, AX6000, AX5700, AX5400, AX4200, AX3600, AX3200, AX3000, AX2700, AX1800, AX1500
- #Wi-Fi 5
- 접두사로 "AC"가 붙는다.
- AC4300, AC3200, AC3150, AC3000, AC2600, AC2400, AC2300, AC2200, AC2100, AC2000, AC1900, AC1750, AC1600, AC1350, AC1300, AC1200, AC900, AC750
- #Wi-Fi 4
- 접두사로 "N"이 붙는다.
- N900, N450, N300, N150
기타 G54 이하
성능 비교
특징 | 802.11ac (Wi-Fi 5) | 802.11ax (Wi-Fi 6) | 802.11ax with 6GHz (Wi-Fi 6E) | 802.11be (Wi-Fi 7) |
주파수 대역 | 5GHz | 2.4GHz 및 5GHz 모두 지원 | 2.4GHz, 5GHz, 6GHz 추가 | 2.4GHz, 5GHz, 6GHz |
최대 이론적 속도 | 최대 3.5 Gbps | 최대 9.6 Gbps | 최대 9.6 Gbps | 최대 46 Gbps |
채널 효율성 | 낮음, AP가 여러 디바이스와 동시에 통신 불가 | OFDMA로 여러 디바이스와 동시에 통신 가능 | OFDMA와 6GHz 대역으로 더 많은 디바이스 처리 가능 | MLO(Multi-Link Operation)으로 대역 결합 및 최적화 |
배터리 효율 | 배터리 절약 기능 미지원 | TWT(Target Wake Time) 기능으로 배터리 절약 가능 | TWT 지원, 6GHz 대역으로 더욱 효율적 | TWT와 더 개선된 절전 기능 |
MU-MIMO | Downlink만 지원 | Uplink 및 Downlink 모두 지원 | Uplink 및 Downlink 지원 | 향상된 MU-MIMO, 더 많은 동시 연결 지원 |
혼잡 관리 | 혼잡한 환경에서 성능 저하 | BSS Coloring으로 혼잡한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성능 향상 | 6GHz 대역으로 간섭 감소 및 더 넓은 채널 확보 가능 | 개선된 BSS Coloring, Preamble Puncturing 등 추가 |
간섭 저감 | 높은 간섭 가능성 | 간섭 저감 기능 향상 | 6GHz 대역으로 간섭 최소화 | 여러 주파수 대역 동시 사용으로 간섭 저감 및 속도 극대화 |
실제 사용 사례 | 일반 가정용 네트워크 및 기본적인 스트리밍 환경에 적합 | IoT, 스마트홈, 고속 게임 스트리밍 및 다중 연결 환경에 적합 | 초고속 연결, AR/VR, 스마트 시티 등 고대역폭 요구 환경에 적합 | 초고해상도 영상, AR/VR, 대규모 IoT 환경에 이상적 |
Wi-Fi Generations Comparison
Generation | IEEE Standard | Adopted | Maximum Link Rate (Mb/s) | Radio Frequency (GHz) |
(Wi-Fi 0*) | 802.11 | 1997 | 1–2 | 2.4 |
(Wi-Fi 1*) | 802.11b | 1999 | 1–11 | 2.4 |
(Wi-Fi 2*) | 802.11a | 1999 | 6–54 | 5 |
(Wi-Fi 3*) | 802.11g | 2003 | 1–54 | 2.4 |
Wi-Fi 4 | 802.11n | 2009 | 6.5–600 | 2.4, 5 |
Wi-Fi 5 | 802.11ac | 2013 | 6.5–6933 | 5 |
Wi-Fi 6 | 802.11ax | 2021 | 0.4–9608 | 2.4, 5 |
Wi-Fi 6E | 802.11ax | 2021 | 0.4–9608 | 2.4, 5, 6 |
Wi-Fi 7 | 802.11be | exp. 2024 | 0.4–23,059 | 2.4, 5, 6 |
Wi-Fi 8 | 802.11bn | exp. 2028 | 100,000 | 2.4, 5, 6 |
- Wi‑Fi 0, 1, 2, 3은 소급적 추론에 의해 명명되었습니다. 공식 명명법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Versions and generations
Wi-Fi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표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802.11a
- 802.11b
- 802.11g
- 802.11n (Wi-Fi 4)
- 802.11h
- 802.11i
- 802.11-2007
- 802.11–2012
- 802.11ac (Wi-Fi 5)
- 802.11ad
- 802.11af
- 802.11-2016
- 802.11ah
- 802.11ai
- 802.11aj
- 802.11aq
- 802.11ax (Wi-Fi 6)
- ???
- 802.11ax with 6GHz (Wi-Fi 6E)
- ???
- 802.11ay
- ???
- 802.11be (Wi-Fi 7)
- ???
Wi-Fi 7
"BE"를 사용한다.
Wi-Fi 6E
"AXE"를 사용한다.
Wi-Fi 6
"AX"를 사용한다. HE(High Efficiency)라고도 한다.
Wi-Fi 5
"AC"를 사용한다.
- 빔포밍 (Beamforming) 채택.
Wi-Fi 4
"N"을 사용한다.
OFDMA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항목 참조.
See also
- AutoAP
- Wireless access point (AP)
- HostAP
- Hostapd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가 액세스 포인트 및 인증 서버로 작동 할 수 있도록하는 사용자 공간 데몬 소프트웨어입니다.
- FragAttacks - Wi-Fi 표준 자체의 설계결함 보안 취약점들
- nmcli
- ip (linux command)
- 빔포밍 (Beamforming)
- Signal processing
- Rou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