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User Experience

사용자 경험(使用者經驗, User Experience 유저 익스피리언스[*], 간단히 UX)은 사용자가 어떤 시스템, 제품, 서비스를 직, 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고 생각하게 되는 총체적 경험을 말한다. 단순히 기능이나 절차상의 만족뿐 아니라 전반적인 지각 가능한 모든 면에서 사용자가 참여, 사용, 관찰하고 상호 교감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가치있는 경험이다. 긍정적인 사용자 경험의 창출은 산업 디자인, 소프트웨어 공학, 마케팅, 및 경영학의 중요 과제이며 이는 사용자의 니즈의 만족, 브랜드의 충성도 향상, 시장에서의 성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주요 사항이다. 부정적인 사용자 경험은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을 이루지 못할 때나 목적을 이루더라도 감정적, 이성적으로나 경제적으로 편리하지 못하거나 부정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경험을 하게 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긍정적인 사용자 경험을 개발, 창출하기 위해서 학술적, 실무적으로 이를 만들어 내고자 하는 일을 사용자 경험 디자인이라고 하며 영역에 따라 제품 디자인, 상호작용 디자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정보 아키텍처, 사용성 등의 분야에서 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 경험은 다학제적이며 다분야의 총체적 시각에서 접근해나가야 하는 핵심적인 원리를 바탕으로 한다.

Categories

더 나은 회원가입/로그인 UX를 위한 팁들

간략한 요약:

  • 첫번째 필드에 오토포커스
  • 모바일용 특수 키보드 설정하기 (email, tel, url, num)
  • 필드 값 즉시 검증하기
  • Label들 클릭 가능 하게
  • 암호 입력시 요구사항 표시(떠나면 제거)
  • 암호 확인 가능하게 또는 두번 입력하게
  • Sign In 과 Sign Up 같이 사용하지 말기 : Sign Up & Log In , Register & Sign in
  • Sign in 과 Sign Up 간에 쉽게 변경 가능 하게
  • Username 보다는 Email로 로그인 가능하게
  • 암호 틀렸을 때 왜 틀렸는지 요구사항 알려주기
  • 암호 리셋/찾기 창에서 기존에 입력한 이메일 가져오기

그밖의 의견:

  • 이메일 입력창에 아이디/도메인 분리하지 말 것
  • 암호에 대문자/특수문자/숫자 조합 강요하지 말 것
  • 암호 길이 및 입력 가능 문자 제한하지 말 것
  • 비밀번호 주기적으로 바꾸는 거 강요하지 말것

Brunch Book 디자인 독학하기

디자이너 없이 생존하는 스타트업을 위한 실용적인 UX 개선 방법

Material UI 같은 컴포넌트 라이브러리 사용하는게 쉬운 길이겠지만, 기초 빌딩 블록은 제공하나 전체 사용자 흐름 설계는 별도 작업 필요

제품을 독특하게 만드는 데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면, 가능한 한 빨리 좋은 사용자 경험을 정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빈 페이지는 함정이다

  • 빈 캔버스를 보며 "이메일 입력 필드는 어떻게 생겨야 할까?" 고민 금지
  • 대기업에서 이미 검증된 패턴 활용 가능
    • 시간 절약 및 사용자 경험 개선 가능
  • 피해야 할 접근 방식
    • 디자인 어워드 사이트 – 독창성은 있지만 사용성 보장은 없음
    • Dribbble – 미적 요소에 초점, 기능성과는 무관
  • 참고해야 할 접근 방식
    • 경쟁사 사이트 – 계정을 만들고 스크린샷으로 기록
    • 패턴 모음 사이트 – PageFlows, Mobbin 등에서 빠르게 참고 가능
  • 일반적인 UI 패턴 메모하기
    • 이메일, 비밀번호 필드, 확인 플로우 같은 공통 UI 요소
    • 시각적 및 레이아웃 규칙:
      • 중앙 정렬된 폼
      • 반응형 디자인
      • 명확한 버튼
      • 상단 로고
  • 의도된 마찰(Friction)
    • 일부 기업은 신용카드 정보를 요구함 → 진지한 사용자 확보 전략
    • 빠른 경험이 항상 좋은 것은 아님

목표를 명확히 정의하기

  • 목표는 단순히 "가입 페이지 만들기"가 아니라 → "가입을 최대한 쉽게 만들기"
  • 질문으로 변환: "어떻게 하면 사용자가 가입을 쉽게 할 수 있을까?"
  • 해결책 예시
    • 비밀번호 강도를 입력 시점에 표시
    • 가입 양식을 채우는 이유 제공
  • 추가 질문
    • 가입 후 바로 로그인 vs 이메일 확인 후 로그인
    • 가입 후 확인 페이지 표시 vs 성공 메시지 표시

엣지 케이스(예외 상황) 고려하기

  • 실제 사용자는 예상대로 행동하지 않음 → 서두르고, 지침을 무시하고, 실수함
  • 질문으로 문제 발생 가능성 점검:
    • 사용자가 빠르게 입력하다가 실수하면 어떻게 될까?
    • 입력 필드에서 발생한 오류가 사용자에게 명확히 전달되는가?
  • 문제 발생 시 수정 방안
    • 비밀번호 생성 시 부주의 → 나중에 계정 잠금 가능성
      • → "비밀번호 확인 필드" 추가해 재입력 요구
    • 비밀번호 불일치 발생 시 → 오류 메시지 표시
      • → 두 번째 비밀번호 입력 시 즉시 경고 표시

AI를 사용해 UX 문제 발견하기

  • ChatGPT 같은 도구를 사용해 UX 문제 확인 가능
  • 완벽하지는 않지만 빠르고 효과적인 확인 가능
  • 유용한 프롬프트 예제
    • Red Team vs Blue Team:
      • "이 가입 플로우에서 사용자가 막힐 수 있는 지점은 어디인가?"
      • "이 디자인이 직관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 업계 표준: "상위 SaaS 회사들은 가입 플로우를 어떻게 설계하는가?"
    • 엣지 케이스: "사용자가 이메일을 잘못 입력했는데 알아차리지 못하면 어떻게 되는가?"

기타 UX 개선 팁

  • 측정 지표 설정
    • 전환율, 사용자 유지율, 사용자 만족도 등 → 객관적 지표로 성과 평가
  • 단순한 색상 사용
    • 기본 색상, 보조 색상, 포인트 색상 → Coolors 추천
  • 친숙한 언어 사용
    • "데이터베이스 오류" 대신 → "변경 사항을 저장할 수 없습니다"

결론

  • 스타트업에서는 속도가 중요 → 완벽주의는 금물
  • UX에서 독창성보다 사용성이 우선
    • 복잡하고 독창적인 디자인보다 직관적이고 명확한 사용자 흐름이 더 효과적
  • 핵심 가치에서만 혁신 → 나머지는 검증된 패턴 사용
  • 사용자가 이미 알고 있는 패턴을 따르면 학습 부담 감소

Documentation

[강추] 스마트 시니어 세대의 문화향유를 위한 인지 반응 맞춤형 UI/UX 기술 개발 - 콘텐츠 서비스 시니어 모드 UI/UX 가이드라인
http://www.initiondata.kr/SeniorUX/Senior%20UX_Spread.pdf
Senior_UX_Spread.pdf
시니어 대상 서비스의 UI/UX 가이드라인으로 시니어 인지 반응 측정과 관련된 실험 결과 및 시니어 문화향유에 대한 현황 조사 결과를 반영하고 있으며 국내외의 접근성 관련 표준 자료, 관련 보고서, 연구 논문 등의 문헌 조사를 기반으로 작성되었다고 합니다.
전자정부 웹사이트 UI·UX 가이드라인 배포 및 활용 안내
행정안전부> 업무안내> 디지털정부혁신실> 정보화 표준·지침 자료실
https://mois.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45&nttId=69451
Distribution_and_Utilization_Guidelines_for_E-Government_Website_UI_UX.pdf

See also

Favorite site

가이드라인

Article

References


  1. Sample movie: Human_Interface_Guideline_1~4.zip 

  2. Distribution_and_Utilization_Guidelines_for_E-Government_Website_UI_UX.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