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Syntax
Tex 문법 설명 및 목록.
연산
| 이름 | 문법 | 결과 |
| 곱셈 | | \(\times\) |
| 나눗셈 | | \(\div\) |
| 덧셈 | | \(+\) |
| 뺄셈 | | \(-\) |
| 내적 (점) | | \(\cdot\) |
특수 기호
| 이름 | 문법 | 결과 |
| 루트 (제곱근; Root) | | \(\sqrt{2}\) |
| 차수가 있는 근호 | | \(\sqrt[3]{5}\) |
| 적분기호 | | \(\int_{-\infty}^{\infty}{x}\) |
| 분수 | | \(\frac{1}{2}\) |
| 가로 분수 | | \({1}/{2}\) |
| 첨자 | | \(2_{5}^{10}\) |
| 합 (SIGMA) | | \(\sum_{n=0}^{10}\) |
| 곱 | | \(\prod{x}\) |
| 공곱 | | \(\coprod{x}\) |
| 합집합 | | \(\bigcup{x}\) |
| 교집합 | | \(\bigcap{x}\) |
| V | | \(\bigvee{x}\) |
| 쐐기형 | | \(\bigwedge{x}\) |
괄호
괄호는 그냥 ()로 써도 되지만, 그렇게 하면 괄호 안 내용의 크기에 맞춰지지 않는다. 자동으로 맞춰지게 하려면 \left(와 \right)를 사용하자. Example:
| 이름 | 문법 | 결과 |
| 일반 | | \((\frac{x}{y})\) |
| 맞춤 | | \(\left(\frac{x}{y}\right)\) |
괄호 종류:
| 이름 | 문법 | 결과 |
| 소괄호 | | \(\left( x \right)\) |
| 중괄호 | | \(\left\{ x \right\}\) |
| 대괄호 | | \(\left[ x \right]\) |
| 꺾인 괄호(꺾쇠) | | \(\left< x \right>\) |
| 절대값 | | \(\left| x \right|\) |
장식기호
| 이름 | 문법 | 결과 |
| 점 | | \(\dot{x}\) |
| 이중점 | | \(\ddot{x}\) |
| 삼중점 | | \(\dddot{x}\) |
| 사중점 | | \(\ddddot{x}\) |
| 모자(hat) | | \(\hat{x}\) |
| 체크(check) | | \(\check{x}\) |
공백
| 이름 | 문법 | 결과 |
| 더블쿼드 공백 | | \(a \qquad b\) |
| 쿼드 공백 | | \(a \quad b\) |
| 공백 | | \(a\ b\) |
| 공백 | | \(a\;b\) |
| 공백 | | \(a\>b\) |
| 작은 공백 | | \(a\,b\) |
| 작은 공백 | | \(a\ b\) |
| 공백 없음 | | \(ab\) |
| 음의 공백 | | \(a\!b\) |
도형
| 이름 | 문법 | 결과 |
| 각도 | | \(\angle\) |
| 삼각형 | | \(\triangle\) |
| 역삼각형 | | \(\nabla\) |
| 삼각형 왼쪽 | | \(\triangleleft\) |
| 삼각형 오른쪽 | | \(\triangleright\) |
| 사각형 | | \(\square\) |
| 검은사각형 | | \(\blacksquare\) |
| 원 | | \(\circ\) |
| 도 | | \(^{\circ}\) |
| 큰 원 | | \(\bigcirc\) |
| 애스터리스크 | | \(\ast\) |
| 별 | | \(\star\) |
| 다이아몬드 | | \(\diamond\) |
| 스페이드 | | \(\spadesuit\) |
| 클럽 | | \(\clubsuit\) |
| 다이아몬드 | | \(\Diamond\) |
| 하트 | | \(\heartsuit\) |
그리스 문자
| 구분 | 대문자 | 소문자 |
| 이름 | 명령어 | 출력 |
| 알파 | | \(A\) |
| 베타 | | \(B\) |
| 감마 | | \(\Gamma\) |
| 델타 | | \(\Delta\) |
| 엡실론 | | \(E\) |
| 제타 | | \(Z\) |
| 에타 | | \(H\) |
| 세타 | | \(\Theta\) |
| 이오타 | | \(I\) |
| 카파 | | \(K\) |
| 람다 | | \(\Lambda\) |
| 뮤 | | \(M\) |
| 뉴 | | \(N\) |
| 크사이 | | \(\Xi\) |
| 오미크론 | | \(O\) |
| 파이 | | \(\Pi\) |
| 로 | | \(P\) |
| 시그마 | | \(\Sigma\) |
| 타우 | | \(T\) |
| 입실론 | | \(\Upsilon\) |
| 파이 | | \(\Phi\) |
| 카이 | | \(X\) |
| 프사이 | | \(\Psi\) |
| 오메가 | | \(\Omega\) |
관계 연산자
| 이름 | 명령어 | 출력 |
| 합동 기호 | | \(\equiv\) |
| 거의 같음 | | \(\approx\) |
| 비례 | | \(\propto\) |
| simeq | | \(\simeq\) |
| 닮음 | | \(\sim\) |
| 같지 않음 | | \(\neq\) |
| 작거나 같음 | | \(\leq\) |
| 크거나 같음 | | \(\geq\) |
| 훨씬 큼 | | \(\gg\) |
| 훨씬 작음 | | \(\ll\) |
논리 기호
| 이름 | 명령어 | 출력 |
| 불릿 | | \(\bullet\) |
| 부정 | | \(\neg\) |
| wedge | | \(\wedge\) |
| vee | | \(\vee\) |
| 논리합 | | \(\oplus\) |
| 왼쪽화살표 | | \(\leftarrow\) |
| 오른쪽화살표 | | \(\rightarrow\) |
| 양쪽화살표 | | \(\leftrightarrow\) |
| 왼쪽화살표 | | \(\Leftarrow\) |
| 오른쪽화살표 | | \(\Rightarrow\) |
| 양쪽화살표 | | \(\Leftrightarrow\) |
| 어떤 | | \(\exists\) |
| 모든 | | \(\forall\) |
모자
| 이름 | 명령어 | 출력 |
| 햇 | | \(\hat{xyz}\) |
| 와이드햇 | | \(\widehat{x}\ \widehat{xyz}\) |
| 물결 모자 | | \(\tilde{x}\ \tilde{xyz}\) |
| 넓은 물결 모자 | | \(\widetilde{x}\ \widetilde{xyz}\) |
| acute | | \(\acute{x}\) |
| grave | | \(\grave{x}\) |
| 점 모자 | | \(\dot{x}\) |
| 이중점 모자 | | \(\ddot{x}\) |
| 체크 모자 | | \(\check{x}\) |
| breve | | \(\breve{x}\) |
| bar | | \(\bar{x}\ \bar{xyz}\) |
| overline | | \(\overline{x}\ \overline{xyz}\) |
| 화살표 모자 | | \(\vec{x} \vec{xyz}\) |
집합 기호
| 이름 | 명령어 | 출력 |
| 교집합 | | \(\cap\) |
| 합집합 | | \(\cup\) |
| 상위집합 | | \(\supset\) |
| 상위집합 | | \(\subseteq\) |
| 진상위집합 | | \(\subsetneq\) |
| 부분집합 | | \(\subset\) |
| 부분집합 | | \(\subseteq\) |
| 진부분집합 | | \(\subsetneq\) |
| 부분집합 아님 | | \(\not\subset\) |
| 부분집합 아님 | | \(\nsubseteq\) |
| 공집합 | | \(\emptyset\) |
| Z집합 | | \(\mathbb{Z}\) |
| 원소임 | | \(\in\) |
| 원소가 아님 | | \(\notin\) |
| 조인 | | \(\Join\) |
벡터
| 이름 | 명령어 | 출력 |
| vector | | \(\vec{a}\) |
행렬
TeX에서 행렬을 표기하는 방법은 다음 5가지이다.
| 이름 | 명령어 | 출력 |
| array | | \(\begin{array} a & b \\ c & d \end{array}\) |
| matrix | | \(\begin{matrix} a & b \\ c & d \end{matrix}\) |
| bmatrix | | \(\begin{bmatrix} a & b \\ c & d \end{bmatrix}\) |
| pmatrix | | \(\begin{pmatrix} a & b \\ c & d \end{pmatrix}\) |
| vmatrix | | \(\begin{vmatrix} a & b \\ c & d \end{vmatrix}\) |
| Vmatrix | | \(\begin{Vmatrix} a & b \\ c & d \end{Vmatrix}\) |
정렬
주로 식에 대한 증명을 사용할 경우 사용한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 \begin{align} f(x) &= (x + a)^2 \ &= (x + a) (x + a) \ &= x^2 + 2ax + a^2 \end{align} $$
기타
| 이름 | 명령어 | 출력 |
| 가운데점 | | \(\cdot\) |
| 말줄임표 | | \(\dots\) |
| 말줄임표 | | \(\cdots\) |
| 말줄임표 | | \(\ldots\) |
| 세로 말줄임표 | | \(\vdots\) |
| 대각 말줄임표 | | \(\ddots\) |
| 나누기 | | \(\div\) |
| 물결표 | | \(\sim\) |
| 겹물결표 | | \(\approx\) |
| 플러스 마이너스 | | \(\pm\) |
| 마이너스 플러스 | | \(\mp\) |
| 프라임 | | \(\prime\) |
| 무한대 | | \(\infty\) |
| 인티그럴(적분기호) | | \(\int\) |
| 편미분 | | \(\partial\) |
displaystyle
다음과 같이 분수 부분이 한 줄에 맞춰지듯이 작에 보이는데...
\(y=y_{0}+(y_{1}-y_{0}){\frac {x-x_{0}}{x_{1}-x_{0}}}\)
{\displaystyle ... } 를 사용하면,
\({\displaystyle y=y_{0}+(y_{1}-y_{0}){\frac {x-x_{0}}{x_{1}-x_{0}}}}\)
줄 크기에 맞춰, 보기 좋게 바뀐다.
문서 시작 종료
괄호를 한쪽만 하고싶다면
왼쪽 \left\{ 과 짝이 되는 오른쪽은 점으로 \right. 넣는다.
\(\alpha(x) = \left\{ \begin{matrix} A & B \\ C & D \end{matrix} \right.\)
매트릭스 안에서 정렬하고 싶다면
\begin{matrix} \begin{align} 와 \end{align} \end{matrix} 사잉에 넣으면 된다.
정렬은 &를 기준으로 정렬하니, 원하는 위치에 적절히 넣자.
\(L \leftarrow \left\{ \begin{matrix} \begin{align} & 116*Y^{1/3}-16 & \textrm{for} Y>0.008856 \\ & 903.3*Y & \textrm{for} Y \le 0.008856 \end{align} \end{matrix} \right.\)
이텔릭체가 아닌 텍스트 넣기
\textrm{for} 와 같이 사용하기.
\(\textrm{for} vs for\)
태그 넣기
\tag{1}와 같이 사용하기.
\(\begin{align} x^2 +y^2=r^2 \tag{1} \\ x\sin \theta +y\cos\theta =r^2 \tag{2} \end{align}\)
개행
- \\ (백 슬래시 2번)
- \newline
- \bre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