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
스프링 프레임워크(Spring Framework)는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서 간단히 스프링(Spring)이라고도 불린다. 동적인 웹 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공기관의 웹 서비스 개발 시 사용을 권장하고 있는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의 기반 기술로서 쓰이고 있다.
Modules
스프링에서 사용되는 주요 모듈은 다음과 같다.
- 제어 반전 컨테이너
- 제어 반전(IoC: Inversion of Control) 컨테이너는 스프링의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기능으로서 자바의 반영(reflection)을 이용해서 객체의 생명주기를 관리하고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을 통해 각 계층이나 서비스들간의 의존성을 맞춰준다. 이러한 기능들은 주로 환경설정을 담당하는 XML 파일에 의해 설정되고 수행된다.
-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프레임워크
- 스프링은 로깅이나 보안, 트랜잭션 등 핵심적인 비즈니스 로직과 관련이 없으나 여러 곳에서 공통적으로 쓰이는 기능들을 분리하여 개발하고 실행 시에 서로 조합할 수 있는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AOP)을 지원한다.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강력한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프레임워크인 AspectJ도 내부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스프링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실행시(Runtime)에 조합하는 방식도 지원한다.
- 데이터 액세스 프레임워크
- 스프링은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고 자료를 저장 및 읽어오기 위한 여러 가지 유명한 라이브러리, 즉 JDBC, iBatis(MyBatis), Hibernate 등에 대한 지원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 트랜잭션 관리 프레임워크
- 스프링은 추상화된 트랜잭션 관리를 지원하며 XML 설정파일 등을 이용한 선언적인 방식 및 프로그래밍을 통한 방식을 모두 지원한다.
- 모델-뷰-컨트롤러 패턴
- 스프링은 웹 프로그램밍 개발 시 거의 표준적인 방식인 Spring MVC라 불리는 모델-뷰-컨트롤러(MVC) 패턴을 사용한다. DispatcherServlet이 Contoller 역할을 담당하여 각종 요청을 적절한 서비스에 분산시켜주며 이를 각 서비스들이 처리를 하여 결과를 생성하고 그 결과는 다양한 형식의 View 서비스들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 배치 프레임워크
- 스프링은 특정 시간대에 실행하거나 대용량의 자료를 처리하는데 쓰이는 일괄 처리(Batch Processing)을 지원하는 배치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기본적으로 스프링 배치는 Quartz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Category
Projects
- Spring:Boot
- Spring:Security
- Spring:Security:OAuth2
- Spring:Tutorials
Classes
Annotations
- Configuration
- RequestMapping
- RequestParam
- PathVariable
- CookieValue
- RequestHeader
- Autowired
Tutorial
Spring 3 + maven2 + Google App Engine: Part 1 ~ 6
- Initial Project Setup: Spring3_maven2_gae_part1.pdf)
- POM Setup: Spring3_maven2_gae_part2.pdf)
- Spring Setup: Spring3_maven2_gae_part3.pdf)
- Deployment: Spring3_maven2_gae_part4.pdf)
- Unit test: Spring3_maven2_gae_part5.pdf)
- Integration Testing using HttpUnit: Spring3_maven2_gae_part6.pdf)
See also
Favorite site
-
Spring Framework homepage - Spring web site
- Wikipedia (en) Spring Framework에 대한 설명
- Spring MVC를 통해 구현한 RESTful 서버 구현
- 스프링 프레임워크 강좌
- 스프링 MVC 즐겨찾기
- YouTube: 스프링캠프 (springcampkr)
- Spring Framework의 개요
- Spring3 MVC (1) - Spring3 MVC Framework 소개
Tutorial site
- [추천] Spring MVC Framework Tutorial
- [추천] Spring Framework 4. Spring Tutorial 따라하기
- [추천] 스프링 프레임워크 강좌: 1일차 spring framework?, DI
- [추천] Maven을 이용한 Spring 실습
- [스프링(Spring) 개발 - (1) 개발환경 구성하기 Eclipse+Maven+SVN (1/3)]
- 자바캔(Java Can Do It) - Spring MVC 기초
- [추천] Spring MVC 시작하기
- Building Java Projects with Maven
Guide site
- maven으로 REST 개발 환경 만들기(Jersey+Spring+MyBatis) #1/2
- Spring MVC 3 Restful 맛보기
- Jersey와 Spring으로 RESTful 웹 서비스 구축하기
- [추천] Simplest Spring MVC Hello World Example / Tutorial – Spring Model – View – Controller Tips
- SpringMVC 전체 흐름 알아보기
- Building a RESTful Web Service
- Spring을 이용한 RESTful 서비스 1
- [추천] Spring 3.0 시작 - Hello World 동작원리 1
- [추천] Spring: 메소드 파라미터(parameter) 및 어노테이션(Annotation) 정리
- Gradle – Spring 4 MVC Hello World Example
- Google App Engine + Spring 3 MVC REST Example 2
- Serving Web Content with Spring MVC
- 이클립스, 톰캣, 스프링MVC, Maven 개발환경 구축: 1장
- 스프링 프레임워크 샘플 가장 쉬운 시작
- 스프링 프레임우워크 3.x 시작하기
- [추천] 스프링 처음 시작하기 3
- [추천] 토비의 스프링3 WIKI
- Spring 3.0 MVC 로 Hello world 어플리케이션 만들기 4
- spring mvc mysql example
- spring MVC 예제 게시판 구현 (MultiActionController)
- Spring 3.1 MVC Example
- 오픈 소스 스터디: Spring MVC
- 모델 1과 모델2의 차이점
- 이클립스 웹프로젝트 톰캣에 export(디플로이)
- [추천] cafe24에서 java spring mvc 사이트 만들기 5
- http://blog.daum.net/bacsumu/13042171
- Google App Engine에 Spring Framework 올리기
TDD
- [추천] JUnit을 이용한 단위 테스트
- 이클립스에서 SpringMVC 테스트(JUnit) 환경 구축하기
- junit을 이용한 spring 테스트 하기 – 1
- 스프링에 JUnit 연동하는 방법(How to use JUnit on Spring)
- Spring MVC Based Application Test Driven Development Part 1 – Project Setup and First Test
- Spring에서 TDD를 이용하여 DB를 테스트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