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PEG4
MPEG-4(엠펙 포, ISO/IEC 14496)는 영상, 음성을 디지털 데이터로 전송, 저장하기 위한 규격의 하나이다. MPEG-1, MPEG-2와 같이 시스템, 비주얼, 음향, 파일 포맷 규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MPEG-4라고 할 때에는 동영상 인코딩 방식을 기술하는 비주얼 부분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규격을 관리하는 동화상 전문가 그룹(MPEG의 원래 의미)은 MPEG-4를 궁극의 영상/음성 인코딩 규격으로 삼으려는 의도가 있어서 현재 3차원 컴퓨터 그래픽, 음성 합성 등을 아우르는 거대한 규격이 되었다. MPEG 기술은 기술마다 부분이라고 불리는 규격으로 나뉘어 있고, 새 기술이 채용될 때마다 부분이 새로 생긴다. 최근엔 H.264가 MPEG-4 Part 10 AVC로 규격화되는 등 현재도 계속 추가 확장되고 있는 규격이다.
Category
MPEG-4를 구성하는 파트
MPEG-4는 다음과 같이 "파트"라 불리는 여러 개의 표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 파트 1(ISO/IEC 14496-1): 시스템: 비디오와 음향의 동기화와 다중화(multiplexing)에 대해 기술한다.
- 파트 2 (ISO/IEC 14496-2): 비주얼: 비주얼 데이터(비디오, 정지 텍스처, 합성 이미지 등)를 위한 압축 코덱을 기술한다. 파트 2의 많은 프로파일(profile) 중 하나가 고급 단순 프로파일(ASP)이다.
- 파트 3(ISO/IEC 14496-3): 음향: 음향 신호의 인지 코딩(perceptual coding)을 위한 압축 코덱, AAC(Advanced Audio Coding)의 변형(AAC, BSAC, TWINVQ)들을 비롯한 다양한 음향/육성 코딩 도구를 포함한다.
- 파트 4(ISO/IEC 14496-4): 정합 테스트: 표준 내의 다른 파트들과의 정합성 테스트를 위한 과정을 기술한다.
- 파트 5(ISO/IEC 14496-5): 참조 소프트웨어: 표준 내의 파트들을 재연하고 분명하게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 파트 6(ISO/IEC 14496-6): DMIF
- 파트 7(ISO/IEC 14496-7): 최적화된 참조 소프트웨어: 개선된 기능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예제 제공. (보기: 파트 5를 볼 것).
- 파트 8(ISO/IEC 14496-8): ip 네트워크에서 전달: IP 네트워크 위에서 MPEG-4 콘텐츠를 전달할 방식을 지정한다.
- 파트 9(ISO/IEC 14496-9): 참조 하드웨어: 다른 파트의 표준을 추가하는 법을 제시하기 위한 하드웨어 설계를 제공한다.
- 파트 10 (ISO/IEC 14496-10): 고급 영상 코딩: AVC라는 영상 신호를 위한 코덱이며 기술적으로 ITU-T H.264 표준과 닮은 꼴이다.
- 파트 11 (ISO/IEC 14496-11): 장면 기술(Scene description)과 응용 프로그램 엔진, BIFS라 칭함, 3D 콘텐츠나 자막 등에 사용할 수 있다.
- 파트 12(ISO/IEC 14496-12): ISO 베이스 미디어 파일 포맷: 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파일 포맷.
- 파트 13(ISO/IEC 14496-13): 지적 재산권 관리와 보호(IPMP)를 위한 확장들.
- 파트 14 (ISO/IEC 14496-14): MPEG-4 파일 포맷: MPEG-4 콘텐츠를 위한 컨테이너 파일 포맷이며 파트 12를 기반으로 한다.
- 파트 15(ISO/IEC 14496-15): AVC 파일 포맷: 파트 12를 기반으로 한 파트 10 비디오의 저장을 위한 것.
- 파트 16(ISO/IEC 14496-16): 애니메이션 프레임워크 확장 (AFX).
- 파트 17 (ISO/IEC 14496-17): 시간에 맞춰 자막을 띄우는 포맷.
- 파트 18(ISO/IEC 14496-18): 글꼴 압축 및 스트리밍 (오픈타입 글꼴).
- 파트 19(ISO/IEC 14496-19): 합성 텍스처 스트림(Synthesized Texture Stream).
- 파트 20(ISO/IEC 14496-20): LASeR (Lightweight Scene Representation의 약자)
- 파트 21(ISO/IEC 14496-21): MPEG-J 그래픽 프레임워크 확장 (GFX)
- 파트 22(ISO/IEC 14496-22): 오픈타입 기반의 오픈 폰트 포맷 규격 (OFFS)
- 파트 23 (ISO/IEC 14496-23): SMR (Symbolic Music Representation의 약자)
- 파트 24 (ISO/IEC 14496-24): MP4 파일 포맷과 MPEG-4 오디오 와의 동작을 정의
- 파트 25 (ISO/IEC 14496-25): 3D 그래픽스에 대한 압축 표준
- 파트 26 (ISO/IEC 14496-26): Audio conformance (표준화 진행중)
- 파트 27 (ISO/IEC 14496-27): 3D Graphics conformance
- 파트 28 (ISO/IEC CD 14496-28): Composite font representation
- 파트 29 (ISO/IEC CD 14496-29): 개발 중 (Web video coding)
- 파트 30 (ISO/IEC CD 14496-30): 개발 중 (Web video coding - Part 30: ISO 기반 미디어 파일 포맷의 타이밍에 맞춘 텍스트 및 기타 시각 오버레이)
How to add a MOOV atom in a mp4 video file
- [추천] Stackoverflow - How to add a MOOV atom in a mp4 video file
- How to open and repair an m4v or mp4 video file?
- Placing "moov atom" at the beginning of an MPEG-4 video with FFMpeg
- Using FFmpeg to locate moov atom
- FFMPEG converting media type aswell as relocating MOOV atom
- FFmpeg trac Ticket #2435: moov atom not found
Run qt_faststart to move the moov atom to the beginning of the stream.
See also
- MPEG
- MPEG4IP: MPEG4IP provides an end-to-end system to explore streaming multimedia.
- AtomicParsley: AtomicParsley is a lightweight command line program for reading, parsing and setting metadata into MPEG-4 files supporting these styles of metadata.
- gpac: GPAC is an Open Source multimedia framework.
- moovrelocator: PHP5 class to relocate the moov-atom from the end to the beginning of a MP4-file.
Favorite site
- Wikipedia (en) MP4
- Wikipedia (en) MPEG4
- The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website
- MPEG4에 대한 설명: (i, b, p frame에 대한 설명 포함)
- MP4와 MPEG4 (영상코덱과 음성고텍의 종류와 차이점) 1
- [추천] The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website
- This site is the registration authority for code-points in "MP4 Family" files
- H.264/MPEG-4 AVC
- H.264 영상 압축 표준 2
- AAC Audio and the MP4 Media Format
- Streaming with MP4 Container
- MPEG-4 파일의 구조 개괄
- Android에서 URL을 통해 MP4 재생시 MOOV정보 삽입 툴
- MPEG File Formats
- White Paper: Media Container File Formats
- Anyone familiar with mp4 data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