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Function point

기능 점수, 펑션 포인트(function point)는 (제품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시스템의 비즈니스 기능의 양을 표현하기 위한 측정 단위이다. 소프트웨어의 기능 크기 측정(functional size measurement, FSM)을 계산하기 위해 기능 함수를 사용한다. 단일 단위의 비용(달러 또는 시간)은 과거 프로젝트를 통해 계산된다.

FP(기능점수)를 산정 방법

정보통신산업진흥원에서 제공하는 FP에 대한 문서를 참고하여 산정한다. FP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먼저 아래 정보통신산업진흥원에서 나온 그림을 보시죠~

Function-point-table.png

계산 방법:

Function-point-calc.png

FP를 위해서 고려해야하는 항목입니다. 여기에서 복잡도 가중치, 또 다음에 고려해야 할 보정계수에 대해서는 일단 고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왜냐하면 FP를 요구하는 대부분의 업체에서 해당 포맷과 적용 데이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엑셀로 작성된 FP에 여러분들은 기능항목과, 위에 있는 기본적인 데이터를 넣으면 FP 값은 계산되어서 나오게 됩니다.

기능 레벨을 추출한다

FP를 작성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항목은 FP를 적용할 기능항목들을 추출하는 것입니다.

보통 3단계 레벨로 구성하고 각각의 기능설명을 상세하게 기록합니다.

내부 논리 파일(ILF)과 외부 연계 파일(EIF)을 구분한다

대부분의 프로젝트에서는 DB 또는 외부 연동을 진행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항목을 ILF나 EIF로 구분해서 판단해야 합니다.

  • 개발하고자 하는 시스템에 저장되는 DB나 파일의 경우에는 ILF로 계산하고,
  • 외부에서 연동을 통해 가져오거나 업데이트 해야하는 항목에 대해서는 EIF로 계산하면 됩니다.

외부입력(EI), 외부출력(EO), 외부조회(EQ)를 작성한다

먼저 외부입력(EI)를 살펴보면 보통 이야기하는 CRUD에서 C(create), U(update), D(delete)를 생각하면 쉽습니다.

즉, 각각의 기능에 대한 입력, 수정, 삭제가 일어나는 회수를 계산해서 적어주시면 됩니다.

이어서 외부출력(EO)과 외부조회(EQ)를 잘 구분하셔야 합니다.

  • 외부출력(EO)이라 함은 데이터를 읽어와서 특정 프로세스를 거쳐서 출력되는 항목을 말합니다. 즉, 내부에서 어떤 처리를 한번 한 다음에 화면에 출력되는 내용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반면에 외부조회(EQ)는 단순히 내부논리파일이나 외부연계파일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서 그대로 출력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예제

통합시스템 개발 기능목록

기능명

데이터 기능

트랜잭션 기능

구분

주기능

부기능

상세기능

내부논리

외부연계

외부입력

외부출력

외부조회

입력

수정

삭제

복지 통합시스템

복지관련 통합예약시스템

시설 통합 예약

입력/수정/삭제

1

-

1

1

1

3

-

1

캘린더 2개월 단위 표시

1

-

-

-

-

0

-

1

오버부킹 방지

예약신청시 순번처리

1

-

-

-

-

0

-

1

공지관리

공지사항

입력/수정/삭제

1

-

1

1

1

3

-

1

파일 업로드

엑셀,워드,파워포인트 파일 업로드

1

1

1

-

-

1

-

-

회계관리

전표관리

월별통계

-

-

-

-

-

0

1

-

규모 보정계수

산정 방법:

SW규모 = 0.4057 x (log e(기능점수) - 7.1978)^2 + 0.8878
   (단, 500FP 미만 1.28, 3,000FP 초과 1.153 적용)

애플리케이션 복잡도 보정계수

구분

복잡도 및 난이도 수준

보정계수

연계복잡성

타 기관 연계 없음

0.88

1~2개의 타 기관 연계

0.94

3~5개의 타 기관 연계

1.00

6~10개의 타 기관 연계

1.06

10개 초과의 타 기관 연계

1.12

성능 요구수준

응답성능에 대한 특별한 요구사항이 없다

0.91

응답성능에 대한 요구사항이 있으나 특별한 조치가 필요하지는 않다

0.95

응답시간이나 처리율이 피크타임(peak time)에 중요하며, 처리 시한이 명시되어 있다

1.00

응답시간이나 처리율이 모든 업무시간에 중요하며, 처리 시한이 명시되어 있다

1.05

응답성능 요구수준이 엄격하여, 설계, 개발 또는 구현 단계에서 성능 분석도구 사용이 필요하다

1.09

운영환경 호환성

운영환경 호환성에 대한 요구사항이 없다

0.94

운영환경 호환성에 대한 요구사항이 있으며, 동일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환경에서 운영되도록 설계된다

1.00

운영환경 호환성에 대한 요구사항이 있으며, 유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환경에서 운영되도록 설계된다

1.06

운영환경 호환성에 대한 요구사항이 있으며, 이질적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환경에서 운영되도록 설계된다

1.13

위 항목에 더하여 일반적 산출물 이외에 장소에서 원활한 운영을 보장하기 위한 운영 절차의 문서화와 사전 모의훈련이 요구된다

1.19

보안성 요구수준

암호화, 웹취약점 점검, 시큐어코딩, 개인정보보호 등 1가지 보안 요구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0.97

2가지 요구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1.00

3가지 요구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1.03

4가지 항목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1.06

5가지 이상의 보안 요구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1.08

용어

데이터 기능 타입

내부 논리 파일 (Internal Logical File; ILF)
산정 대상 시스템이 유지/관리하는 파일
외부 연계 파일 (External Interface File; EIF)
산정 대상 시스템이 참조하는 파일

트랜잭션 타입

외부 입력 (External Input; EI)
외부에서 입력되는 값
외부 출력 (External Output; EO)
외부에 출력되는 값 (데이터 가공 수반)
외부 조회 (External Query; EQ)
외부 입출력 (데이터 가공 없음)

Favorite site

References


  1. 기존 깨진 파일 이름: 최종-KOSA_2014년_SW사업_대가산정_가이드_개정사항_안내.pdf 

  2. 기존 깨진 파일 이름: File:KOSA_SW사업_대가산정_가이드_-_2014년_개정판.pdf 

  3. Function_Point_Estimation_and_Utilization.pdf (기존 깨진 파일 이름: 기능점수(Function_Point)산정_및_활용_방안.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