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Economy:Basic

순서

경제 1강 통화량, 우리가 재테크를 하는 이유

  • 통화량은 증가한다 -> 내 재산이 통화량이 증가하는 속도에 맞춰 늘어나지 않으면 점점 가난해진다 (지표로 물가상승률) -> 재테크는 선택이 아닌 의무
  • 돈의 양이 왜 늘어나는가?
  • 돈이 풀리는 3개의 수도꼭지 -> 은행, 한국은행, 외국
  • 빚(대출)이란? -> 빚은 어디에서 오는가? (은행)
    • 마을의 빚 예시 (은행에 가서 1억원 빚지는 3명)
    • 은행은 예금도 없이 대출해주는가?
    • 은행이 대출해주는 순간 시중에 풀리는 돈의 양은 늘어난다.
  • 정부가 국채로 한국은행에 가서 시중의 돈을 빌린다
    • 시중의 돈을 조절하기 위해
  • 외화
    • 외국인 투자 등
    • 외환시장
    • 환율이 떨어지면 원화 가치가 올라간다. 그럼 좋은가? -> 수출기업이 싫어한다
  • 통화량이 늘어나는 이유?
    • 은행의 대출
    • 정부의 예산 부족
    • 외화 유입
  • 결국 앞으로도 돈의 양이 늘어날까?
  • 통화량이 늘어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 경제가 성장하는 만큼 돈이 늘어나야 한다.
      • 돈이 늘어나면 -> 재화 서비스가 늘고 -> 늘어난 재화와 서비스를 소비하려면 -> 돈이 더 늘어나야함 (반복)
      • 결국 경제가 성장하는 만큼 돈이 늘어난다.
    • 돈이 안늘어나면 부자보다 가난한 사람이 더 타격 받는다.
    • 자본주의가 성공하려면 돈의 양이 늘어나야한다.
  • 결국 통화량이 결국은 늘어날거다. -> 돈의 가치가 낮아진다 -> 그 만큼 자산의 가격이 늘어나고 -> 그 만큼 내 돈이 늘어나지 않으면 -> 가난해질 수 있다.
  • 그래서 재테크를 해야 한다.
  • 부채는 나쁜건가?

경제 2강 리스크, 투자에서 승리하는 법

  • 그래서 어디에 투자해야 하냐? -> 그걸 알면...
  • 어떻게 해야하나 같은 몇가지 원칙이 있다.
  • (노골적으로) 주식 vs 아파트 (은행 예금은?)
    • 1980년 부터 투자하면 주식은 x18, 아파트는 x5~8
    • 1990년 부터 투자하면 주식은 x3, 아파트는 x3~5
    • 빠르게 투자했다는 이유만으로 투자 성적이 결정된다.
    • 자산의 특징이 중요
      • 아파트는 투자 시기와 수익률의 관계가 적다
      • 주식은 투자 시기와 수익률의 관계가 크다
    • 자산마다 변동성이 다른 이유 -> 투자자의 마음이 반영된다.
      • 아파트는 -> 특성상 바로 사고팔수없다
        • 보다 언제 사야지? 보다 뭘사야지? ... 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 주식은 -> 특성상 바로 사고팔수있다
        • 뭘사야지? 보다 언제 사야지? ... 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 두 자산의 특징을 잘 알면 좋다.
    • 주식은 변동성이 크니까 -> 비싸게 살 수 있다 (불안 심리), 쌀 때 팔 수 있다. (공포 심리)
    • 아파트 10년 가지고 있어... 는 많이 보지만 vs 주식 10년 가지고 있어... 는 많이 못봄
  • 누군가가 주식을 봐 보니...
    • 주식은 경제가 좋을 때 오른다,
    • 주식은 경제가 나쁠 때 떨어진다.
    • 이러한 타이밍에 주식을 사고팔아보자 -> 이러한 지표는? 실업률 이다. -> 양 쪽 모두 테스트해봤음 별 차이가 없더라
    • 결국은 주식은 좋은 주식을 오래 들고있는게 좋다.
    • 하지만 변동성이 커서 견디기가 어렵다.
  • 변동성이 크다는것 자체가 리스크가 큰 것이다.
    • 1억으로 +20% -> -10% -> +20% -> -10% 되면 1억 1,664만원
    • 1억으로 +50% -> -40% -> +50% -> -40% 되면 8,100만원
  • 투자의 핵심, 리스크란?
  • 리스크(Risk) vs 위험(Danger)
  • 시도를 늘려라.
    • 동전 / 앞면 +5억, 뒷면 -10억 -> Danger
    • 동전 / 앞면 +10억, 뒷면 -5억 -> ???? 50% 확률이 너무 크니 Danger 이다.
    • 동전 / 앞면 +1천만, 뒷면 -500만 ~~ 을 100번 던져보자 -> (큰 수의 법칙) -> Risk 함.
    • 이러한 내용을 주식에도 적용해 보자. -> 한번에 많이 사지 말고 많이 쪼개서 사라. -> 큰 수의 법칙을 만드는 방법
    • 보험사가 돈을 버는 원리 -> 여러 사람을 가입시킨다. (이게 횟수를 늘리는 느낌이다)
  • 시간을 늘려라.
    • 투자의 기간을 늘리자.
  • 포트폴리오란
    • 좋은 주식이라는건 알아보기 힘들다.
    • 지수 투자하라는 이유.
    • 자신에게 어울리는 투자 방식인지 고려해야 한다.
      • 전업 투자자 처럼 실적체크/정보조사 등 할 수 있나? -> 아무나 할 수 있는 투자 방식인가?
    • 한 종목에 투자하면 -> 그 하나가 망하면 큰일난다
    • 골고루 섞어서 투자하자. (리스크 분산)
    • 주식/부동산/채권/금/환율 등
    • 현금을 들고 있어라 ... 라는 말도 있다
      • 현금이 하나도 없으면 -> 심리적으로 불안해지고 -> 나쁜 선택을 할 수 있다.
      • 변동성이 커서 좋은 투자 타이밍에 -> 갑자기 기회가 왔을 때 -> 기회를 잡을 수 있다.

경제 3강 금리와 환율, 밀고 당기는 돈의 역학

  • 금리란?
    • 돈과 돈을 서로 교환할 수 있나?
    • 현재의 돈과 vs 미래의 돈을 교환할 때 비율은? -> 은행에서는 이걸 "예금" 이라 하고, 비율을 "이자" 라고함.
    • 현재의 돈과 미래의 돈을 바꿀 때 교환 비율을 "금리"라 한다.
    • 이러한 시장을 채권 시장이라 한다.
    • 기준금리를 정해주는 이유
      • 추울때 덜덜 떨다 옷입고 더울때 땀뻘뻘 흘리다 옷벗지 말라는 느낌
  • 환율
    • 다른 나라의 돈의 교환 비율
      • 환율이 달라지는 이유 (너무 많지만 대표적으로)
        1. 물가의 차이 (어떤 물건의 가격이 나라마다 다르다)
        2. 자원 개발로 인한 화폐 가치 상승
        3. 해외 투자 활성화
        4. 다른 나라 외환시장
        5. 금리

기타

  • 은행에서 말하는 실적은?

See also

Favorite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