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rowdfunding

크라우드펀딩(영어: crowdfunding)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해 소규모 후원을 받거나 투자 등의 목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플랫폼을 통해 다수의 개인들로부터 자금을 모으는 행위이다. '소셜 펀딩'이라고도 하나, 정확한 용어는 아니다.

주로 자선활동, 이벤트 개최, 상품 개발 등을 목적으로 자금을 모집한다. 투자방식 및 목적에 따라 지분투자, 대출, 보상, 후원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Site

Ko-fi
https://ko-fi.com/
Donations and Monthly Support from Fans For the Price of a Coffee
The friendly and free way for fans to support your work for the price of a coffee. Get paid directly with 0% fees from Ko-fi.
Patreon
잭 콘티(Jack Conte)라는 사람이 창설한 미국에서 서비스되는 모금 후원 사이트. 이름을 읽을 땐 '페이트리언'으로 발음한다. 사이트명의 유래는 'patron(후원자)'이다.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의 일종으로 그림, 음악, 영상, 소설,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분야의 컨텐츠 창작자는 구독자(후원자)로부터 정기적·일시적 후원을 받고 그 금액에 해당하는 보상을 제공한다.
Open Collective
Open Collective is a crowdfunding platform focused on grassroots groups.
GitHub Sponsors
Github 에서 운영하는 거시기
Indiegogo (인디고고) - https://www.indiegogo.com/
Kickstarter 대비 다소 유연한 규정을 가진 플랫폼입니다. 캠페인 유형을 Flexible Funding으로 설정하면 목표 미만이어도 모금액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 앱 분야의 Indiegogo 성공 사례는 드문 편이며, 한 보고에 따르면 Indiegogo에서 앱/소프트웨어의 성공률은 Kickstarter보다 낮은 약 9% 수준이라는 분석도 있습니다. 주로 하드웨어나 가젯 프로젝트에 강세인 경향이 있으므로, 본 프로젝트처럼 개발자 도구 소프트웨어의 경우 Kickstarter만큼 커뮤니티 호응을 얻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Kickstarter (킥스타터) - http://kickstarter.com/
전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으로, 기술/소프트웨어 카테고리에서도 다수의 성공 사례가 있습니다. 플랫폼 방문자가 많고 인지도 높아 노출 효과가 크며, All-or-Nothing 방식을 통해 목표 금액 미달성 시 후원금을 받지 않는 구조라 후원자 입장에서 신뢰도가 높습니다. 실제로 Kickstarter의 프로젝트 성공률은 약 39%로 추정되는데, 이는 Indiegogo 등 경쟁 플랫폼보다 훨씬 높은 수치입니다. OpenShot, Krita 등 앞서 소개한 소프트웨어 사례들도 Kickstarter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다만, Kickstarter는 창의적 프로젝트에 한정되고 승인 절차가 있으므로 프로토타입 영상/데모 준비 등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텀블벅
~
와디즈
국내 최대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으로, 한국어로 캠페인을 진행하고 원화 결제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국내 IT커뮤니티를 공략하기에는 친숙한 채널이지만, Wadiz의 주요 후원자층은 라이프스타일 제품이나 하드웨어에 좀 더 관심이 높고, 소프트웨어 분야는 규모가 크지 않습니다. 또한 본 프로젝트의 잠재 이용자는 국내보다 해외에 더 많을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한국어 사용자들을 위한 별도 펀딩이나 프리세일을 진행하고 싶다면 추후 Wadiz나 텀블벅을 부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성공적인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 크라우드펀딩 사례 비교 분석

WARNING

Deep Research 질문 결과임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자금을 확보하고 성공한 데스크탑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의 사례들을 조사했습니다. 대표적으로 OpenShot 영상편집기, Krita 디지털 페인팅 툴, Blender 3D 소프트웨어 등을 들 수 있는데, 각각의 주요 기능과 펀딩 성공 요인을 살펴보겠습니다:

OpenShot Video Editor
오픈소스 크로스플랫폼 영상 편집 프로그램. 2013년 Kickstarter 캠페인에서 약 $45,000 이상의 펀딩에 성공하여 Windows/Mac/Linux 지원 개발을 진행했습니다.
  • 주요 기능: 쉽고 직관적인 UI의 비선형 영상 편집, 다양한 트랜지션/효과 제공.
  • 성공 요인: 기존에 리눅스에 사용 가능한 편집기가 부족한 상황에서 멀티플랫폼 지원에 대한 수요가 높았고, 기존 사용자 커뮤니티의 지지가 강했습니다.
프로젝트 리더가 이미 Linux용으로 인기 있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확장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신뢰도가 있었고, 명확한 목표 (크로스플랫폼 버전 출시)가 후원자들에게 어필했습니다.
Krita (크리타)
오픈소스 디지털 회화(Painting) 프로그램. 전문 일러스트와 컨셉 아트를 위한 툴로서 2014년과 2015년에 연속으로 Kickstarter 캠페인을 열어 €20,000 이상씩 모금에 성공했습니다.
  • 주요 기능: 브러시 엔진, 레이어, HDR 페인팅 등 상용 못지않은 풍부한 기능 제공.
  • 성공 요인: 이미 존재하던 탄탄한 사용자층(오픈소스 예술가 커뮤니티)의 지원이 컸고, "Photoshop보다 빠르게 만들겠다", "벡터 도구 개선" 등 후원금 사용처가 명확한 기능 개선 목표를 내세워 지지층의 기대를 이끌어냈습니다. 또한 개발팀이 이전에도 커뮤니티 펀딩을 통해 약속한 기능들을 구현해온 신뢰성이 후원 성공률을 높였습니다.
리워드로 사용자들이 원하는 기능 개발을 앞당기는 형태였기 때문에 일종의 선주문처럼 받아들여졌고, 오픈소스 프로젝트도 전문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입니다.
Blender
오픈소스 3D 모델링/애니메이션 소프트웨어.
Blender는 2002년 상용에서 오픈소스로 전환될 때 이례적으로 커뮤니티 크라우드펀딩 캠페인을 진행하여 €100,000를 모금, 소스코드 라이선스를 ????매입하여 전격적으로 오픈소스로 전환한 역사가 있습니다.
  • 주요 특징: 3D 모델링, 렌더링, 애니메이션의 풀 패키지 기능.
  • 성공 요인: 당시 Blender를 사랑하던 유저들이 소프트웨어의 생존과 자유 배포를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한 것으로, 강력한 커뮤니티의 결집이 결정적이었습니다.
"Free Blender" 캠페인이라 명명하여 Blender를 자유롭게 만들겠다는 명분이 뚜렷했고, 단기간에 목표액을 달성했습니다.
이 사례는 정식 플랫폼이 아닌 자체 모금을 통해 이룬 성과지만, 소프트웨어의 가치를 사용자들이 인정하고 직접 투자한 성공적인 크라우드펀딩 사례로 자주 언급됩니다.

이들 사례의 공통 요인을 살펴보면:

  1. 이미 잠재 사용자 커뮤니티가 존재하거나 커뮤니티 형성에 성공했다는 점
  2. 펀딩을 통해 달성할 명확한 목표 제시 (예: 특정 기능 추가, 플랫폼 포팅, 오픈소스화 등)
  3. 후원자들에게 매력적인 보상 또는 혜택 (예: 조기 사용, 투표권, 이름 등재)이 있었다는 점입니다.

또한 사전에 공개된 프로토타입이나 이전 버전 소프트웨어가 있어서 프로젝트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신뢰를 준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결합되어 후원자들이 “내 돈을 보태면 내가 쓰고 싶은 소프트웨어가 발전한다”는 확신을 갖게 된 것이 펀딩 성공의 핵심으로 분석됩니다.

정부 지원 프로그램

  • K-Startup - 창업진흥원이 운영하는 정부 지원 플랫폼.
  • SW융합클러스터 - 소프트웨어 중심 프로젝트 지원.
  • 창업도약패키지 - 초기 창업자 대상.

See also

Favorite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