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
사업(事業), 혹은 비즈니스(영어: business, 문화어: 비지네스)는 물건이나 용역을 고객이나 다른 사업체에 판매할 수 있을 만큼의 경제적 자유를 누릴 수 있는 국가 안에 존재하는 법적으로 인식되는 조직체나 활동이다.
사업은 제품(예: 상품 및 서비스)을 생산하거나 구매하고 판매하여 생계를 유지하거나 돈을 버는 행위이다. 사업체는 "이익을 위해 수행되는 모든 활동이나 기업"이다.
사업체는 소유주와 반드시 별개일 필요는 없으며 채권자는 사업체가 취득한 부채에 대해 소유주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다. 기업의 과세 체계는 법인의 과세 체계와 다르다. 사업 구조는 법인세율을 허용하지 않는다. 소유주는 사업으로 발생한 모든 소득에 대해 개인적으로 과세된다.
법 및 공직에서는 사업체라는 용어와 코퍼레이션, 협동조합과 같은 회사를 구별한다.
기업은 개인 소유주 및 파트너십과 구별된다. 이들은 별도의 법인체이며 소유주와 회원에게 유한 책임을 제공한다. 법인세율이 적용된다. 또한 구성이 더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지만 소유주와 소속원에게 더 많은 보호와 혜택을 제공한다.
See also
- 경영학 (Administration of business)
- 사업계획서 (Business plan)
- Startup company (스타트업)
- Outsourcing (외주)
- Lifestyle business
- Side job
- 사업자등록증 (Business Registration Certificate)
- 과세 (Taxation)
- 노무 (Work, Labor)
가장 인상적인 1인 회사들
- 스타듀밸리 - Eric Barone
- 컨트리 라이프 롤플레잉 게임. 6년간 $300M+(3800억원) 매출
- BuiltWith - Gary Brewer
- 웹사이트가 어떤 기술로 만들어졌는지 보여줌. 매년 $14M(170억원) 매출
- Viral Nova - Scott Delong
- 인터넷의 바이럴 컨텐츠 큐레이션 사이트. 피크때 년 $5~10M(60억~127억원) 매출. 월방문자 1억명
- Photopea - Ivan Kutskir
- 무료 사진 편집기. 매년 $1.5M(20억원) 매출. 월 1천만명 방문
- Digital Inspiration - Amit Agarwal
- 구글 Docs/Sheets/Slides용 플러그인 제작. 년 $10M(127억원) 매출. 월방문자 5백만. 다운로드수 4천만회 이상
- Rego Apps - Allen Wong
- Tesla Remote / Police Scanner 등 3개의 앱으로 $100M(1270억원) 매출
- 여러개의 비즈니스 - Justin Welsh
- 다양한 비즈니스를 만들어서 $3M+(38억원) 이상의 매출. 94% 마진. 이렇게 만드는데 3년 걸림
- Brumate - Dylan Jacob
- 24+시간 이상 맥주/와인을 차게 보관하는 캔 판매. $20M(26억원) 매출
- 여러개의 비즈니스 - Pieter Levels
- 원격근무 잡마켓, AI사진, 노마드 커뮤니티 등의 사이트를 만들어서 ~$3M+(38억원) 매출
- Carrd - ajlkn
- 원페이지 웹사이트 빌더, 년 $1M+(12억) 매출. 4백만개의 사이트가 생성됨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사업으로 전환한 방법
-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처음 작성하고 배포하기 시작한 것은 약 15년 전이었으며, 당시에는 MIT나 BSD와 같은 허용적 라이선스만을 사용했음.
- Nodemailer와 같은 자신의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A급 회사가 사용하는 것을 영광으로 여겼으나, 어느 대형 이메일 서비스 창업자의 기부 제안을 거절하기도 했음.
- 하지만 Nodemailer를 사용하는 스타트업이 5억 달러에 인수되었을 때, 자신이 얻은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기 시작했음.
- EmailEngine을 시작할 때는 가능한 많이 자신을 보호하려고 했으며, LGPL 라이선스를 사용하고 CLA(Contributor License Agreement) 프로세스를 설정했음.
- CLA를 싫어하는 사람들이 많았지만, Nodemailer의 코드의 98.1%를 직접 작성했고, EmailEngine의 경우 99.8%를 직접 작성했기 때문에 PR(풀 리퀘스트)이 병합되지 않는 것은 큰 문제가 되지 않았음.
- 새 프로젝트에서 수익을 창출하고자 LGPL 라이선스로 프로젝트를 공개하고, MIT 버전을 구독해야만 얻을 수 있도록 했으며, 연간 구독료는 250유로였음.
- 하지만 이 비즈니스 모델은 실패했고, 1년 반 동안 총 수익은 750유로에 불과했음.
- 앱의 UI를 전문적으로 재설계하고 라이선스 키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EmailEngine을 사용하려면 유료 구독자만이 얻을 수 있는 라이선스 키가 필요했음.
- LGPL에서 상업 라이선스로 변경했으며, 소스 코드는 여전히 GitHub에 공개되어 있지만, 더 이상 오픈소스가 아닌 '소스-사용 가능' 상태가 됨.
- MIT 라이선스로 더 작은 도구들을 계속 공개하지만, 주요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하지 않음.
- 예를 들어, EmailEngine에서 IMAP 클라이언트 기능을 추출하여 Node.js용 일반 IMAP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로 MIT 라이선스 하에 공개했으며, 이 모듈은 기존 대안보다 훨씬 나은 성능을 제공함.
- 처음에는 시험 사용 옵션이 없었고, 애플리케이션 시작 후 15분 이내에 유효한 라이선스 키를 제공하지 않으면 앱이 작동을 멈췄음.
- 가격을 동일하게 유지했고, 첫 달에 1750유로 상당의 구독을 판매하여 프로젝트의 운명을 결정지었음.
- 가격을 점차 인상했고, 이로 인해 고객 수가 줄어들지 않았으며, 비즈니스에게는 1,000달러 미만의 금액이 크게 부담되지 않는 것으로 보임.
- 현재 EmailEngine의 월간 반복 수익(MRR)은 6100유로이며, 에스토니아에서는 이를 통해 자신에게 적절한 급여를 지급하고 프로젝트에 전념할 수 있음.
GN⁺의 의견
- 이 기사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상업적 사업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공유하며, 오픈소스 개발자들에게 수익 창출의 가능성을 보여줌.
-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무상 제공이 장기적으로 개발자에게 불리할 수 있음을 강조하며, 상업적 라이선스로의 전환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줌.
- 이 기사는 오픈소스 커뮤니티 내에서 CLA의 중요성과 라이선스 선택이 사업 모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함.
- 라이선스의 종류와 그에 따른 법적, 재정적 영향을 고려해야 하며,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상업화하는 과정에서 커뮤니티의 반응과 기여도를 예측하는 것이 중요함.
- 이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은 안정적인 수익과 전문적인 제품 개발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지만, 오픈소스 커뮤니티로부터의 지원과 기여를 잃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음.
Hacker News 의견
- I turned my open-source project into a full-time business | Hacker News
- 이야기의 핵심은 저자가 소프트웨어가 라이선스 없이는 작동을 멈추게 만들었을 때 구독자를 얻기 시작했다는 것임.
- 유효한 라이선스 키를 애플리케이션 시작 후 15분 이내에 제공하지 않으면 앱이 작동을 멈춤.
- 대부분의 사용자에게는 라이선스 변경(MIT/LGPL 등)이 중요하지 않음. 해커뉴스(HN)에서는 이러한 미묘한 차이에 민감하지만, 실제 업무를 처리하려는 기업 직원들에게는 크게 문제되지 않을 것임.
- 사용자들은 문제 해결을 위해 소프트웨어를 검색하고 설치한 후 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일과를 계속함. 그러나 소프트웨어가 15분 후에 작동을 멈추면 그들은 막힌 상태를 해결해야 함.
- 사용자들이 코드를 읽고 라이선스 검사를 제거할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지만, 일부 사용자는 대신 신용카드로 결제하는 것을 선호함.
- 엔터프라이즈 판매 영역으로 들어가면 상황이 훨씬 복잡해지고 판매 주기가 길어짐. 솔로 창업자에게 이러한 가격 정책은 완벽함.
- 공유 자원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는 동안 단기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최적화된 기업들이 있음. 그들은 아무것도 돌려주지 않을 것임.
- 모든 오픈소스 개발자에게 일어날 수 있는 일이며, 많은 돈을 벌고 있는 기업들을 보며 일부 수익을 받아야 한다고 느끼는 것은 인간적임.
- FOSS가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지만, 누군가에게 이것이 실수였다고 생각하게 만들고 대신 FOSS 기관이 사용할 수 없는 프로젝트를 만들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리는 것은 안타까움.
- 최고의 FOSS 소프트웨어를 만들면 모두가 혜택을 받고, 개인이 대기업과 동일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다는 사실에 자부심을 느낄 수 있음.
- GPLv3 또는 AGPL 라이선스 소프트웨어로 대기업을 겁주는 아이디어에 대해 조심스럽게 찬성함.
- 저자는 유효 날짜/라이선스 세부 정보(호스트 이름 등)를 작성하고 서명하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음.
- 비즈니스에게는 1,000달러 미만의 금액이 크게 문제되지 않으므로, 가격 인상은 수익 개선에만 영향을 미침.
- 사람들이 돈을 지불하지 않고도 일하게 만드는 한 가지 방법은 광고를 지원하는 소셜 미디어 사이트임. 그들은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고 광고에 대한 주의를 무료로 얻음.
- 지위를 얻기 위해 일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면, 박사 학위가 좋은 예임. 박사 학위를 받고 학계에 남으면 산업계에 비해 급여가 매우 낮지만 지위의 약속이 있음.
- 오픈소스도 마찬가지로, 순수성에 대한 논쟁과 자기 희생에 대한 주장은 사람들이 돈 대신 지위를 얻고 있다는 증거임.
- 이것은 자체적으로 나쁜 것이 아니며(오픈소스나 학계 모두), 사람들은 자신의 시간을 어떻게 팔지 자유롭게 선택해야 함.
- 문제는 지위를 위한 작업 구조에서 이익을 얻는 자들(대기업, 대학, 그리고 그들의 리더들)이 이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어두운 패턴을 사용할 유인이 있다는 것임.
Article
B2B 창업자를 위한 Go-To-Market 가이드: Idea부터 Product-Market Fit까지
- 많은 창업자는 시장 진입 전략(GTM) 을 완벽한 아웃바운드 캠페인이나 영업팀의 목표 초과 달성으로 생각함
- 그러나 실제로 중요한 것은 제품-시장 적합성(Product-Market Fit) 을 찾기까지의 0에서 1로 가는 과정임
- 이 과정에서 초기 전략이 결정되며, 잘못된 방향 설정 시 이후에 수정하기 어려움